웹소설 PD (플랫폼)
- 회사 업종 구분
디지털 콘텐츠(웹툰/웹소설) 플랫폼 - 직종
스토리기획/편집
- 담당 업무
– 웹소설 작가발굴, 작품 계약 (2차 사업 관련 계약 포함), 작품 원고편집
– 스토리 기획 및 작가매칭 (ex. 영상 원천스토리를 웹소설로 2차 사업화하는 경우 or 기획된 웹소설을 개발하는 경우 등 최근 들어 증가하는 업무케이스 )
- 직무 개요 및 유망성
– 현재까지 업계에서 불리는 웹소설 PD의 주요 업무는 담당 장르의 작가를 발굴하고, 작품을 계약한 후 원고를 편집하고, 적절한 표지를 발주하고, 원고를 편집해서 플랫폼에 런칭시키고, 웹소설의 2차 사업에 대한 사업권리를 저작권자에게 위임받아 웹툰화, 영상화 등 다양한 2차 사업이 진행될 때 저작권자의 수익과 사업진행과정을 확인하고 저작권자와 소통하는 일을 해옴.
– 영상산업, 게임산업 등 다양한 콘텐츠 산업에서 IP 확장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산업 간 시너지를 기대하면서 발생하는 프로젝트성 웹소설 기획개발 업무가 증가하는 추세. 가령, 영상이나 게임 등이 원천스토리가 되어서 해당 원천스토리 그 자체 혹은 원천스토리 내의 특정 캐릭터를 기반으로 웹소설을 2차 사업화하는 케이스가 생기고 있어서 이에 따른 스토리 기획, 작가 섭외, 새로운 계약구조 등을 짜는 등 웹소설을 2차 사업으로 간주하고 전담하는 PD들도 생기고 있음.
– IP에 대한 권리관계가 복잡예민해짐에 따라, 대형 플랫폼에서는 영상 산업처럼 100% 저작권을 회사가 소유할 수 있는 자체 기획물도 개발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며 이에 따라 작가 발굴 및 편집 역량 뿐만 아니라 ‘스토리 기획’ 역량도 갖춘 PD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 기대.
- 필요 역량
- 웹소설에 대한 소비경험과 트렌드 변화에 기민한 분
- 웹소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 산업에 대해 관심이 높으신 분(게임, 영화드라마, 출판, 실물상품)
- 팬덤 콘텐츠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신 분
- 자격 요건(학력/성별/연령/경력/자격증 등)
- 학력, 성별, 연령 무관
- 실제 업무에 도움이 될 만한 덕질 경험이나 커뮤니티 활동, 창작 활동, 마케팅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음
- 한국어자격증이 있어도 좋음
- 해당 직종으로 진출하기 위해 준비해야 할 것들
–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람들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분석하고 기민하게 트렌트를 파악하는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꾸준히 업계 인기작, 이슈작을 보고 독자 반응 등을 체크
– ‘나 혼자만 레벨업’, ‘사내맞선’, ‘이태원 클라스’ 등 메가 히트작의 성공요인을 작품의 원천스토리인 웹소설 (캐릭터, 플롯, 당시 트렌드, 독자 반응 등) / 만화, 영상 등의 2차적 저작물 등의 관점에서 나름대로 세밀하게 분석해보는 과정 필요
– 사람들이 공감하고 재미를 느끼는 캐릭터와 이야기란 무엇인지 나만의 기준을 가지고 정의해보는 과정 필요
– 정보 제공 : 카카오엔터테인먼트(카카오페이지) 웹소설사업실
– 이외 더 자세한 콘텐츠 스토리 산업 현황과 유관 직무 정보는 웹소설창작전공 2학년 <웹소설산업과 비즈니스> 수업에서 들으실 수 있습니다.
글 조희정(웹소설창작전공 교수)